본문 바로가기

Stupid Computer/5. Linux

[Linux] top 명령어를 통한 시스템 분석

출처 : http://morenice.tistory.com/30

linux에서 top 명령어는, 
linx kernel을 통하여 관리되는 프로세스의 태스크 리스트들의 정보(시스템 메모리 사용률, cpu 사용률, 상태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p 명령어를 통하여 프로세스가 race condition 상태, 메모리 릭, 과도한 i/o사용률, zombie 프로세스,.. 등 활용하기에 따라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top 명령어를 사용하여 화면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top


 





화면 설명
상단의 전체 cpu 사용량과 memory사용량, Task 정보와 부팅되고 운영된 up 정보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면, 현재 48 일째 운영되고 있군요.

CPU 정보를 간략하면 말하자면  왼쪽 부터 user level 사용량(nice 기본값 이상),  시스템 커널 사용량, nice 기본값 이하 사용량, idle, I/O Wait, 하드웨어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입니다.

만약 하드웨어 인터럽트(hi) 혹은 I/O Wait(wa)의 수치가 크게 되면 cpu가 인터럽트를 처리하느라  프로세스 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프로세스 실행 결과 속도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단에는 Task단위, 즉 프로세스 하나하나의 정보가 나옵니다.




HELP
h(help) 버튼을 누르면 헬프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모니터링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화면 배색이나 어떤 정보 위주로 리스트를 sort하여 볼지 설정을 할수 있습니다.





Sort field

Shift + f  (F)  키를 눌르면 sort할 컬럼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어떤 프로세스가 CPU나 MEM을 
많이 쓰고 있는지 확인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Shift + f 키를 눌러 나온 화면입니다. sort할 필드를 확인후 알파벳을 누르면 *표가 그쪽으로 이동을 합니다.
엔터를 누르면 sort된 화면이 나타납니다.
※ 보통 내림차순으로 나오는데요. Shift + r (R) 을 누르면 오름차순/내림차순을 변경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Shift + f 을 누른 화면입니다.


Cpu나 Mem 컬럼을 선택해서 어떤 프로세스가 race condition상태 또는 메모리릭등을 확인 할 수 있으며,
Process Status로 Zombie가 된 프로세스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태스크 리스트 정보에서 S 컬럼부분에  Z(zombie)라고 나오지요.



화면 갱신 주기 설정

아래 화면은 시간 타이머에 의해 갱신이 되는데요
d(delay)를 누르면 delay 시간, 즉 갱신 주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default 갱신 주기는 3초입니다.)

저는 1초나 0.5초 주기로 확인을 하는 편입니다.

 

- See more at: http://morenice.tistory.com/30#sthash.aC22Gb7E.dpu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