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pid Computer/5. Linux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들에 대한 설명 ( Running Linux 의 4장 ) cd, ls, mkdir, rm, cp 등 리눅스 명령어(command)는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bin 디렉토리 같은 곳에 들어 있습니다. 유닉스가 아름다운 것은 핵심적인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해주는 작지만 견고한 프로그램(=명령어)들이 |(파이프 문자)를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어 매우 복잡한 기능을 해내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견고한 레고 블럭을 조립하는 것입니다.최근의 리눅스 배포본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대폭적으로 도입되어 사실상 매킨토시나 윈도우즈처럼 마우스 포인터와 클릭으로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역시 리눅스의 참맛은 터미널창에서 명령어를 타이핑하는 데서 느낄 수 있습니다. 도스(DOS)의 조잡함과 달리 유닉스 명령어는 단순한 명령어가 파이프문자를 통해 아름.. 더보기
[Linux] Top 명령어 사용법 , linux 메모리 사용량 보기 (adb 메모리 사용량) Linux 에서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가장 많은 메모리를 잡아 먹는 놈이나, 사용 시간이 긴 프로세스들을 찾는데 사용합니다. [Linux] Top 명령어 사용법 시스템 사용량 확인(windows에서 작업관리자에서 보는 화면과 비슷한 기능) [사용법]$ top [옵션] [화면 내용들]top - 14:16:52 up 4 days, 5:25, 3 users, load average: 0.00, 0.01, 0.05Tasks: 131 total, 1 running, 130 sleeping, 0 stopped, 0 zombieCpu(s): 2.4%us, 0.3%sy, 0.0%ni, 97.0%id, 0.2%wa, 0.0%hi, 0.0%si, 0.0%stMem: 8140668k total, 79008.. 더보기
[Linux] top 명령어를 통한 시스템 분석 출처 : http://morenice.tistory.com/30linux에서 top 명령어는, linx kernel을 통하여 관리되는 프로세스의 태스크 리스트들의 정보(시스템 메모리 사용률, cpu 사용률, 상태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p 명령어를 통하여 프로세스가 race condition 상태, 메모리 릭, 과도한 i/o사용률, zombie 프로세스,.. 등 활용하기에 따라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top 명령어를 사용하여 화면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top 화면 설명 상단의 전체 cpu 사용량과 memory사용량, Task 정보와 부팅되고 운영된 up 정보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면, 현재 48 일째 운영되고 있군요. CPU 정보를 간략하면 말하자면 왼쪽 부터 us.. 더보기
[Ubuntu] 윈도우에 우분투 설치하기, VirtualBox 이용하여 우분투 설치 ! VirtualBox는 설치 되어 있다고 가정 한다. 설치 되어 있지 않은 경우 VirtualBox 설치 하기 글을 참고 하자. Step 1. ubuntu 다운 받기 (12.10)설치 주소 32bit: http://www.ubuntu.com/download/desktop/thank-you?release=latest&bits=32&distro=desktop&status=zeroc64bit: http://www.ubuntu.com/download/desktop/thank-you?release=latest&bits=64&distro=desktop&status=zeroc ubuntu-12.10 iso 이미지가 다운로드 될 것이다. Step 2. 가상 머신 만들기VirtualBox를 실행 한다. 왼쪽 상단에 있는 .. 더보기
[Apache] 윈도우용 아파치(Apache) 웹서버 설치 출처 : http://esarang.tistory.com/entry/%EC%9C%88%EB%8F%84%EC%9A%B0%EC%9A%A9-%EC%95%84%ED%8C%8C%EC%B9%98Apache-%EC%9B%B9%EC%84%9C%EB%B2%84-%EC%84%A4%EC%B9%98 현재 아파피 설치는 윈도우 xp 에서 진행합니다. 리눅스용 서버설치와 설정은 별도로 마련될 것입니다. php와 웹 강좌는 초보자를 중심으로 설치부터 제반 설정까지 누구나 따라 공부하실 수 있는 수즌으로 쉽게 설명합니다. apache_2.2.11-win32-x86-no_ssl.msi apache 다운로드 사이트 : http://httpd.apache.org/download.cgi 위에 첨부된 파일은 작성일 현재 최신 버젼입니다. 이.. 더보기
[VirtualBox] 우분투 및 Gentoo 설치 문제 ! unable to boot - please use a kernel appropriate for your cpu 출처 : http://kof2001fan.tistory.com/162 Virtual Box 사용하여 Gentoo 를 설치 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생겼다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왔던 것이다. This kernel requires the following features not present on the CPU: pae Unable to boot - please use a kernel appropriate for you CPU 이상태로 계속 설치가 진행이 안되는 것이었다. 예전에 VMware 로 페도라를 설치할때 이런 현상이 나왔기에 혹시 Virtual Box 버전이 낮아서 그런건가 해서 다시 재설치로 최신 버전으로 설치를 해봤지만 여전했다. 영어만 제대로 읽었더라면.. 바로 해결했을텐데... 얘꿎은 구글링만 .. 더보기
[리눅스] 세마포어 ! semget() 세마포어 생성 및 접근 출처 :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427675&mid=C_LIB설명semget() 함수는 세마포어 집합을 생성하거난 이미 생성된 세마포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합니다.세마포어는 공유 자원을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것을 막고, 오직 자원을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방법입니다. 즉, 여러 프로세스 중 공유 자원을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지 있다면 작업이 끝나기 전까지 다른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없도록 다른 프로세스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을 세마포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세마포어를 제일 간단히 설명한다면 특정 변수를 두고, 이 변수를 미리 확인합니다. 특정 변수를 확인하는 함수를 p()라고 .. 더보기
[리눅스] 기본 명령어 !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gszzang11&logNo=50169464219&categoryNo=0&parentCategoryNo=0&viewDate=&currentPage=3&postListTopCurrentPage=1&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30&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3 퍼미션(권한)이란?OwnerGroupOtherOwner와 Group은 파일소유자자신과 자신이 속한그룹. Other은 제3자, 웹사이트 방문객은 제3자로 nobody로 취급.rwxrwxrwxr은 파일 읽기(4), w는 파일 쓰기(2), x는 파일 실행(1)755파일.. 더보기
[우분투리눅스] SSH설치와 Putty를 통한 텔넷 접속 ~ 텔넷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의 컴퓨터를 제어하고, 원격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합니다. 윈도우즈 시스템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과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으나, 원격 데스크톱의 경우 GUI를 이용하여우리가 사용하는 윈도우즈의 모습 그대로 원격 컴퓨터를 연결하여 컨트롤 할 수 있는데 반하여텔넷은 오로지 CUI 기반의 텍스트 콘솔 형식으로 원격 컴퓨터를 컨트롤 하게 됩니다.(GUI방식으로 리눅스 기반의 원격 컴퓨터를 제어 하는 툴도 있습니다.) 텔넷 서비스 중 ssh란 secure shell이라 불리우는 보안텔넷은 원격 컴퓨터에 안전하게 액세스하기 위한 유닉스 기반의 명령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로서, 웹 서버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서버들을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원격지에서 제어하기위하여 널리.. 더보기
[리눅스] Sudo 명령어 정의 , substitute user do sudo 명령어는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다른 사용자의 보안권한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substitute user do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명령을 이행하라, 는 뜻이다.) 의 줄임말이다. 기본적으로 Sudo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요구하지만 루트 비밀번호(root password)가 필요할 수 도 있고, 한 터미널에 한번만 입력하고 그 다음부터는 비밀번호가 필요 없다.[2] Sudo는 각 명령줄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상황에서는 관리자 권한을 위한 슈퍼유저 로그인(superuser login)을 완벽히 대신하며, 주로 우분투 리눅스와 애플의 맥 오에스 텐 에서 볼 수 있다.[3][4]이 프로그램을 처음 쓴 사람은 Bob Coggeshall 과 .. 더보기